Posts

캐시리스 소사이어티 뜻 : Cashless society 현금금지사회 Cashless economy 캐시리스 이코노미 Cashless payments 캐시리스 페이먼트 Digital payments 디지탈 페이먼트 CBDC 씨디비씨

Image
● Cashless society [캐시리스 소사이어티] 현금사용이 금지된 사회 ● Cashless payments [캐시리스 페이먼트] 비현금결제. 현금이 아닌 결제수단에 의한 결제 ● Cashless economy [캐시리스 이코노미] 현금사용이 금지된 경제체제 ● Digital currency [디지탈 커런시] 전자화폐 ● Digital bank [디지탈 뱅크] 전자은행  ● Digital payments [디지탈 페이먼트] 전자결제. 전자적으로 처리되는 결제수단에 의한 결제 ● Digital economy [디지탈 이코노미] 현금사용을 금지하고 전자적 결제만이 허용되는 경제체제 ● Online bank [온라인 뱅크] 온라인 은행 ● Internet bank [인터넷 뱅크] 인터넷 은행 ● Internet-only Bank [인터넷 오운리 뱅크] 인터넷 은행 ● Direct Bank  [다이렉트 뱅크] 다이렉트 은행 ● Virtual bank [버츄얼 뱅크] 버츄얼 은행 ● CBDC =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씨비디씨 = 쎈트랄 뱅크 디지탈 커런시] 중앙은행발행 전자화폐 ............. 위의 용어들은 말이 다르고 어감은 다르게 들릴지 모르지만 결국에는 같은 것이다. 현금을 없애버려, 현금 사용을 금지시키고, 오로지 전자적 결제만 할 수 있도록 하여, 한 사람 한사람의 모든 사생활 정보와 일거수 일투족을 낱낱이 장악하는 것이다. 전자화폐(현금금지)가 올바르게 기능을 하려면, ① 그어떤 외세의 간섭.지배로부터도 완전하게 자유로운, 말 그대로, 완전한 자주독립 주권국가이고, ② 나라의 리념(理念)과 모든 공권력이 오로지 인민대중(민중)을 위하여 충성.복무하는 체제가 갖추어진 땅이라야 한다. 지구를 통째로 움켜쥐고 세계단일정부체제(OWG : One World Government) 노예로 만들어, 제놈들만의 세상으로 만들려는, 흉악한 세계지배세력(유대금융자본세력, 이른바 딮스테

Martial law [마셜 로] 뜻 : 계엄령 (戒嚴令)

Image
계엄령 (戒嚴令, Martial law [마셜 로]) : 전쟁 폭동 대재앙 등과 같은 국가적 비상사태에 대응하기 위하여, 군대를 동원하여, 민간의 사회생활을 군대로써 통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계엄령선포의 조건인 "비상사태 (emergency)"라는 말은 그 기준이 매우 모호하고, 실권자의 편의에 따라 얼마든지 자의적으로 해석되고 악용될 여지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계엄령이라는 말 역시 모호성이 매우 높다 하겠습니다. ● martial [마셜] 전쟁의, 군대의 martial은 로마의 전쟁 신인 Mars[마즈]에서 비롯한 라틴어 martialis에서 온 낱말로서, 전쟁(war) 또는 군대(military)를 뜻합니다. law[로]는 법(法)이라는 뜻이므로, martial law [마셜 로]는 군대가 지배 내지 통제 (military rule over civilians)하도록 하는 법을 말합니다. ● martial law [마셜 로] 계엄령 (戒嚴令) = 마셜로는 계엄이 선포된 지역에서 군대를 동원하여 민간인을 통제하는 매우 극단적인 수단이다. Martial law is an extreme measure used to control by military authorities over the civilian population of a designated territory. = 마셜로는 점령군이 점령지에 적용하는 법률이다. The law applied in occupied territory by the military authority of the occupying power. = 마셜로는 통상의 사법기관이 공공질서 및 안전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비상상태에서 군대로써 직접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The law administered by military forces that is invoked in an emergency when the civilian law enforcement agencies are unabl

중국 은행 구조 체계 목록 : 정책은행 상업은행, 은행명 번체 간체 영문 표기 목록

Image
관할부처 : 국무원 國務院 (国务院) [guówùyuàn 궈우위엔] State Council 중앙은행 : 중국인민은행 中國人民銀行 (中国人民银行) [Zhōngguó Rénmín Yínháng 중궈 렌민 인항] People's Bank of China (PBoC) 제1금융권 第一金融圈 [dìyījīnróngquān 띠 이 진롱췐] First financial circle 제2금융권 第二金融圈 [dì'èrjīnróngquān 띠 얼 진롱췐] Second financial circle 정책은행 政策銀行 (政策银行) [zhèngcè yínháng 정서 인항] Policy bank 상업은행 商業銀行 (商业银行) [shāngyè yínháng 샹이예 인항] Commercial bank ● 정책은행 政策銀行 (政策银行) [zhèngcè yínháng 정서 인항] Policy bank 국가개발은행 國家開發銀行 (国家开发银行) [guójiā kāifā yínháng 궈지야 카이파 인항] National Development Bank 농업발전은행 農業發展銀行 (农业发展银行) [nóngyè fāzhǎn yínháng 농이예 파쟌 인항] Agricultural Development Bank 수출입은행 輸出入銀行 (输出入银行) [shūchūrù yínháng 슈츄루 인항] Import and export bank ● 상업은행 商業銀行 (商业银行) [shāngyè yínháng 샹이예 인항] Commercial bank 국유상업은행 國有商業銀行 (国有商业银行) [guóyǒu shāngyè yínháng 궈요우 샹이예 인항] State-owned Commercial Banks 주식제상업은행 股份制商業銀行 (股份制商业银行) [gǔfènzhì shāngyè yínháng 구펀지 샹이예 인항] Shareholding commercial bank. Joint-stock commercial bank. Joint-equity commerc

뜻 : 베이시스 포인트 Basis Points. 기호 bp, bps, bips [비피, 빞, 비프]

Image
● 베이시스 포인트 (Basis Points)는 금융분야에서 이자률이나 주가지수 등을 말할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베이시스 포인트를 나타내는 기호로는 bp 또는 bps 또는 bips 로 적습니다. 읽을 때는 베이시스 포인트 또는 비피 또는 빞 또는 비프 라고 말합니다. ● basis [베이시스] : 자리, 터, 기반 등의 뜻이고, 수치에서는 단위의 기준을 말함. ● point [포인트] : 점. 지점. 이자률이나 주가지수 변동폭은 미미하기 때문에, 백분률 (퍼센트 percent %)로 말하면, 영점 영영영xxx와 같이 소수점 아래 수자가 길어져 불편합니다. 베이시스 포인트 (Basis Points)에서 베이시스(basis)는 기준이 되는 자리 또는 터 라는 뜻이고, 여기서 말하는 자리(베이시스)는 퍼센트(%) 수치의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를 말합니다. 곧, 소수 둘 째 자리를 기준(베이시스)으로 하여 정수로 읽는 것입니다. 포인트(point)는 1 포인트, 2포인트 ... 하며 수를 세는 단위 입니다. 그러므로, 0.01 퍼센트(%) = 1 베이시스 포인트 (bp)이고, 1 퍼센트(%) = 100 베이시스 포인트(bp) 입니다. 거꾸로, 1 베이시스 포인트 (bps) = 0.01 퍼센트(%) 이고, 100 베이시스 포인트 (bps)는 1 퍼센트(%) 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0.0 1 %를 소수 아래 둘 째 자리를 기준(베이시스)으로 하면, 1 포인트라는 말입니다. 0.01%를 그냥 1 포인트라고 하면 헷갈리므로, 1 베이시스 포인트라고 읽습니다. 예컨데, 0.1 2 345% 라는 백분률 수치가 있다면, 소수점 아래 두 번째 자리는 2 입니다. 그러므로, 0.12345%를 베이시스 포인트로 읽으면, 12점345 비피(bp)가 됩니다. 예컨데, 이자률이 0.25% 인상되었다면, "영점이오 퍼센트"라고 말하는 대신에, "이십오" 베이시스 포인트 또는 "이십오" 비피 인상

해외선물 증거금 (마진) : 정액제 (定額制 flat sum system) 정률제 (定率制 fixed rate system), 씨엠이 선물 증거금 과거 자료 페이지 CME Futures Margin Historical Data - 주식 선물 옵션 FX마진 거래

Image
선물(先物, Futures) 계약은 미래에 정산 및 인수도 할 것을 약속하는 것이므로, 그에 따른 일정한 증거금 (보증금, 마진 margin)을 내게 됩니다. 이는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선물 상품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거래소의 선물계약 증거금(마진) 산정 방식에는 크게 정액제 (定額制 flat sum system)와 정률제 (定率制 fixed rate system), 두 가지가 있습니다. 정액제는 거래소가 선물계약의 증거금을 일방적으로 일정한 금액을 부과하는 것이고, 정률제는 거래소가 선물상품의 증거금을, 정해진 금액이 아니라, 일정한 비율로 부과하는 것입니다. 정률제는 가격이 변동함에 따라 증거금액이 변동하게 되지만, 선물 거래자들이 스스로 그 내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자금 운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 정률제를 채택하고 있으면서도, 이런저런 이유를 내세우면서 수시로 증거금률을 내렸다 올렸다 하는 거래소도 있습니다. 그런 이상한 거래소의 상품은 거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에, 정액제는 거래소가 일방적으로 증거금액을 올렸다 내렸다 하므로, 선물 거래자들은 증거금액이 언제 얼마나 변동될 지를 알 수 없으므로, 자금운용을 하는 데에 장애 요소로 작용합니다. 특히, 특정 품목의 증거금을 대폭 인상 또는 대폭 인하 함으로써, 가격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되고, 이는 선물 거래자에게는 커다란 부담 요인이자 위험 요인으로 됩니다. 씨엠이 (시카고 상업 거래소, CME, Chicago Mercantile Exchange)는 선물계약 증거금을 정액제로 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는 CME 선물계약 증거금 과거 데이타를 볼 수 있는 페이지 입니다.  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항목을 열면, PDF 형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타를 엑셀 등과 같은 스프레드 시트 파일로 전환하여, 증거금 변동내역을 분석해 보면 도움이 됩니다. List of Historical Margins by Name (CME)

뜻 : 실버 스트리밍 Silver streaming, 스트리밍 계약 streaming agreements

Image
● 실버 스트리밍 (Silver streaming) 자금을 가진 기업과 은을 채굴하는 광산기업간에 체결하는 일종의 선도거래(先渡去來)를 말합니다. 미래의 일정한 기간을 상정하여, 그 기간에 생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실물 은(Silver)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매매하기로 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은값은 쌍방이 협의하여 결정하지만, 선도거래이므로, 그에 따라, 시가 보다 낮은 고정된 가격으로 결정이 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자금이 딸리는 광산기업으로서는 운영자금을 미리 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반면에, 은을 시세 보다 낮은 가격에 넘겨야 하는 손실이 발생됩니다. 자금을 제공하는 스트리밍 기업은 은 생산을 위한 탐사 개발 채굴 정련 등을 위한 시설 장비를 갖추지 않고도 실물 은을 손에 넣게 되는 장점이 있고, 반면에, 은값이 예상과는 다르게 큰 폭으로 하락하게 되면 손실이 발생할 위험성을 안게 됩니다. ● stream [스트림] 물줄기. 어떤 원천에서 시작하여 줄기를 이루며 흘러 가다. ● 실버 휘톤은 세계 최대의 실버 스트리밍 기업이다. 실버 스트리밍 기업들이 유행을 타기 시작한 것은 2004년 스트리밍 개념이 시작되면서 부터 이다. Silver Wheaton Corporation is the world's largest silver streaming company. Silver streaming companies have been popular since the concept of streaming was created in 2004. ● 실버 스트리밍은 무엇인가? 스트리밍 계약이란 한 쪽 기업은 자금을 제공하고, 다른 쪽 기업은 미래에 생산될 일정량의 광산물을 제공하는 형태의 계약을 말한다. what is silver streaming? Streaming agreements entail one company offering another company capital in exchange for a set am

뜻 차이 : 중국주식 후강통 (滬港通) 선강통 (深港通) 후구통 (滬股通) 선구통 (深股通) 강구통 (港股通)

Image
중국 주식 투자에서 늘상 듣게 되는 용어에 대한 뜻과 차이점에 대한 설명입니다. 1. 증권거래소 중국의 증권거래소는 상해 심천 그리고 홍콩 거래소로 나뉘어 있습니다. 우리는 거래소(去來所)라 하고, 중국은 교역소(交易所)라 합니다. ● 상해증권거래소 上海證券交易所 / 上海证券交易所 Shanghai Stock Exchange (SSE) : 국영 대기업 중심 ● 심천증권거래소 深圳證券交易所 / 深圳证券交易所 Shenzhen Stock Exchange (SZSE) : 중소형 민영기업 중심. 성장주 중심. ● 홍콩증권거래소 香港交易所 Hong Kong Stock Exchange (HKEX) 上海 상해 [Shànghǎi 샹하이] 深圳 심천 [Shēnzhèn 셴젠] - 흔히 [선전]으로 적음. 香港 향항 [Xiānggǎng 샹강] - 홍콩 2. 거래소간 교차거래 교차거래(交叉去來)는 한 쪽 거래소의 계좌를 가지고 다른 쪽 거래소의 주식을 거래(매매)한다는 뜻입니다. 1) 후강통(滬港通 호항통 hù-gǎng-tōng [후강통]): 후강통은 상하이증권거래소( 滬 )와 홍콩증권거래소( 港 )간 교차거래를 말합니다. 본명칭은 沪港股票市场交易互联互通机制 이고 영어로는 Shanghai-Hong Kong Stock Connect 라고 합니다. 상하이-홍콩 주식 련계제도는 2014년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 후구통 (홍콩에서 상해 주식 거래): 홍콩증권거래소에서 상해증권거래소 주식을 매매하는 것을 후구통(滬股通 호고통 hù-gǔ-tōng [후구통])이라 합니다. 후구통(滬股通)은 상해증권거래소 주식 (滬股)을 홍콩증권거래소를 통하여 (通港) 매매한다는 뜻입니다. 후구통 제도를 통하여 홍콩과 해외의 투자자들은 상하이증권거래소 A주식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후구통은 영어로 Shanghai Connect Northbound 또는 Northbound 라고 부릅니다. ● 강구통 (상해에서 홍콩 주식 거래): 거꾸로 상해증권거래소에서 홍

뜻 차이 : 본드 노트 빌 Bond Note Bill 채권 債券

Image
본드 (bond) 노트 (note) 빌 (bill)은 모두 채권(債券)이라는 말이고, 각각을 나누는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채권(債券)은 국가, 회사, 개인 등이 돈을 빌리고, 그 내용을 증명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증서(證書), 곧 빚 문서 입니다. 채권에는 돈을 빌린 주체 (= 채권 발행자 = 채무자), 빌린 돈의 금액, 원금과 이자 상환 조건 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債 빚 채 (亻 사람인변/13획) 券 문서 권 (刀 칼 도/8획) 채권은 몇 가지 기준으로 나뉘어 불리웁니다. 채권을 발행한 주체에 따라, 국가가 발행한 채권을 국채(國債), 지방정부가 발행한 채권을 지방채(地方債), 회사가 발행한 채권을 회사채(會社債) 등으로 부릅니다. 채권을 발행한 주체의 공공성에 따라, 공채(公債)와 사채(私債)로 나누어 부르기도 합니다. 원금 상환 기간에 따라, 장기채(長期債), 단기채(短期債), 30년채, 10년채, 5년채, 2년채, 1년채 등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합니다. 장기채와 단기채 구분 기준은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만기가 1년 미만인 채권을 단기채라고 하는 데에는 큰 혼란이 없습니다. 영어에서는 채권을 본드(bond) 또는 노트(note)라고 부릅니다. 본드와 노트는 모두 채권(債券)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본드와 노트를 명확하게 구분할 개념적 기준은 없습니다. 채권증서에 본드라고 쓰면 본드이고, 노트라고 적으면 노트이고 그렇습니다. 다만, 미국 재무성(Treasury)이 발행하는 미국 국채를 구분하는 기준은 있습니다. 그 기준은 만기(滿期, maturity)입니다. 만기가 10년 보다 긴 국채를 본드(bond), 만기가 1년 이상 10년 이하인 국채를 노트(note), 만기가 1년 미만인 국채를 빌(bill)이라고 각각 부릅니다. 본드 (bond) : 만기 > 10년 노트 (note) : 1년 ≤ 만기 ≤ 10년 빌 (bill) : 만기 < 1년 그러므로, 30년 만기 미